안녕하세요, 이준형 상담사입니다.
아내분의 행동과 태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해 주신 내용들을 종합해 보면, 단순한 ‘예민함’을 넘어 ‘편집성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order)’의 특징과 유사한 부분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편집성 성격장애는 타인을 신뢰하지 못하고, 주변 사람들의 행동이나 말을 과도하게 의심하며, 자신을 해치려 한다고 믿는 경향이 강한 정신적 특성입니다.
말씀하신 ‘선행은 모두 위선이다’, ‘남편이나 타인의 불편은 사소하다 여기기’, ‘세상은 믿을만한 곳이 아니다’, ‘자신에게 친절하지 않은 사람은 모두 적’이라는 생각들,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적대적으로 대하며 ‘편’을 드는 것에 집착하는 행동들은 편집성 성격장애와 관련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규범을 무시하는 행동, 가스라이팅, 타인에 대한 과도한 비판과 공격성 역시 편집성 성격장애에서 종종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다만, 정확한 진단은 전문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상담 및 평가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아내분이 편집성 성격장애가 의심된다면,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권유드리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해 조언드립니다.
1.자신의 감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본인의 심리적·신체적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상대의 공격성이나 가스라이팅에 휘말리지 않도록 거리를 유지하고, 필요한 경우 가족이나 친구, 전문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세요.
2.감정을 과도하게 공유하지 않기
편집성 성격장애가 있는 분들은 자신의 세계관에 맞지 않는 의견이나 감정을 적대적으로 받아들입니다. 따라서 갈등이 심해질 수 있는 감정 표현은 신중하게 하시고, 되도록 객관적이고 단호하게 대처하세요.
3.전문가 상담 권유
아내분이 본인의 행동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고, 변화 의지가 있다면 전문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을 받도록 부드럽게 권유해 보세요.
4.자신도 상담 받기
힘든 상황에서 본인도 감정 소진이나 스트레스를 겪기 쉽습니다. 주변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대처하기 위해 본인도 심리상담이나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5.법적·사회적 지원 알아보기
만약 가정 내 폭력이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면, 보호명령이나 상담센터, 가족지원기관 등 공공기관에 문의하는 것도 고려하세요.
당신은 절대 혼자가 아닙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 용기 내어 질문해 주신 점 진심으로 존중하며 응원합니다. 언제든 더 자세한 상담이나 도움이 필요하시면 부담 없이 연락 주세요.
– 이준형 상담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