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영어 문법 몇가지 있습니다.. - 영어 문법의 과거형이랑 과거 분사형의 의미 차이가 있나요?- to부정사와

- 영어 문법의 과거형이랑 과거 분사형의 의미 차이가 있나요?- to부정사와 동명사,분사는 뭐가 다른건가요?- 능동과 수동이 뭔가요?영어 뉴비로서..도와주실 수 있으신가요..?

영어 문법이 처음이라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 테니 너무 걱정 마세요!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1. 동사의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의 의미 차이

동사에는 여러 형태가 있는데, 그중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은 형태는 비슷해도 쓰임과 의미가 완전히 다릅니다.

  • 과거형 (Past Simple):

  • 형태: 동사원형에 -ed를 붙이거나 불규칙하게 변형됩니다 (예: eat - ate, play - played).

  • 의미/쓰임: **'과거의 특정 시점에 일어난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주로 문장의 동사 역할을 합니다.

  • 예시:

  • I ate an apple yesterday. (나는 어제 사과를 먹었다.) - 과거에 '먹었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 She played soccer last week. (그녀는 지난주에 축구를 했다.) - 과거에 '했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 과거분사형 (Past Participle - P.P.):

  • 형태: 동사원형에 -ed를 붙이거나 불규칙하게 변형됩니다 (예: eat - eaten, play - played). (과거형과 형태가 같은 경우가 많아 헷갈릴 수 있습니다!)

  • 의미/쓰임:

  1. 완료 시제 (현재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를 만들 때: 'have/has/had + P.P.' 형태로 쓰여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I have eaten an apple. (나는 사과를 먹었다 - 먹는 행위가 완료되어 지금 그 결과가 있다는 뉘앙스)

  • She had played soccer before it rained. (비가 오기 전에 그녀는 축구를 했었다.)

  1. 수동태를 만들 때: 'be동사 + P.P.' 형태로 쓰여 동작을 '당하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 The apple was eaten by me. (그 사과는 나에 의해 먹혔다.)

  • Soccer is played all over the world. (축구는 전 세계에서 행해진다.)

  1. 형용사 역할: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로 쓰여 '수동' 또는 '완료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 a broken window (깨진 창문) - window는 '깨뜨리는' 것이 아니라 '깨지는' 것이므로 수동 의미.

  • finished homework (끝마쳐진 숙제) - homework는 '끝내는' 것이 아니라 '끝마쳐지는' 것이므로 수동 의미.

핵심 정리:

  • 과거형: 문장의 본동사로 쓰여 과거의 일을 나타낸다. (행위의 주체가 직접 한 일)

  • 과거분사형: 동사 단독으로 문장의 본동사 역할을 하지 않는다. 'have/has/had'와 함께 완료 시제, 'be동사'와 함께 수동태, 또는 형용사로 쓰여 '수동'이나 '완료'의 의미를 나타낸다. (행위의 주체가 당한 일 또는 이미 완료된 일)

2. to부정사, 동명사, 분사의 차이점

이 세 가지는 모두 동사에서 파생되었지만, 동사처럼 시제나 주어에 따라 변하지 않고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다른 품사 역할을 하는 것들을 '준동사'라고 부릅니다.

to부정사 (to + 동사원형)

  • 역할:

  1. 명사처럼: ~하는 것 (주어, 목적어, 보어)

  • To study English is fun. (영어를 공부하는 것은 재미있다.) - 주어

  • I want to study English. (나는 영어를 공부하는 것을 원한다.) - 목적어

  1. 형용사처럼: ~할, ~하는 (명사 수식)

  • I have a lot of homework to do. (나는 해야 할 숙제가 많다.)

  1. 부사처럼: ~하기 위해, ~해서, ~하기에 등 (목적, 원인, 결과, 조건 등)

  • I study hard to pass the exam. (나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한다.) - 목적

동명사 (동사원형 + -ing)

  • 역할: 명사처럼만 쓰입니다.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 Studying English is fun. (영어를 공부하는 것은 재미있다.) - 주어

  • I enjoy studying English. (나는 영어를 공부하는 것을 즐긴다.) - 목적어 (동사 enjoy는 뒤에 동명사만 목적어로 취함)

핵심 정리 (to부정사 vs. 동명사):

  • to부정사: 명사, 형용사, 부사로 다양하게 쓰임. 주로 미래 지향적, 일시적, 목적의 의미를 가짐.

  • 동명사: 오직 명사로만 쓰임. 주로 과거 지향적, 일반적 사실, 반복적 행동의 의미를 가짐. (물론 예외도 많음)

분사 (현재분사 -ing / 과거분사 -ed, P.P.)

  • 역할:

  1. 형용사처럼: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로 쓰여 능동/진행 또는 수동/완료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 현재분사 (-ing): ~하는, ~하고 있는 (능동/진행)

  • a sleeping baby (잠자고 있는 아기)

  • the boy running fast (빨리 달리고 있는 소년)

  • 과거분사 (-ed, P.P.): ~된, ~해진 (수동/완료)

  • a broken window (깨진 창문)

  • the car driven by him (그에 의해 운전된 차)

  1. 분사구문으로: 문장에서 부사절처럼 쓰여 시간, 이유, 조건, 양보, 동시 동작 등을 나타냅니다.

  • Walking along the street, I saw an old friend. (길을 걷다가, 옛 친구를 만났다.)

  • Written in English, this book is difficult. (영어로 쓰여서, 이 책은 어렵다.)

핵심 정리 (분사):

  • 현재분사: 동사원형 + ing (명사 수식 시 '~하고 있는', '~하는' → 능동, 진행)

  • 과거분사: 동사원형 + ed / P.P. (명사 수식 시 '~된', '~해진' → 수동, 완료)

3. 능동과 수동

능동태 (Active Voice):

  • 주어가 동사의 동작을 직접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예시:

  • I eat an apple. (내가 사과를 먹는다.) - '나(I)'가 '먹는(eat)' 동작을 직접 함.

  • He wrote a letter. (그가 편지를 썼다.) - '그(He)'가 '쓰는(wrote)' 동작을 직접 함.

수동태 (Passive Voice):

  • 주어가 동사의 동작을 '당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형태: 주어 + be동사 + 과거분사(P.P.) + (by + 행위자)

  • 예시:

  • An apple is eaten by me. (사과가 나에 의해 먹힌다.) - '사과(An apple)'가 '먹는' 동작을 당함.

  • A letter was written by him. (편지가 그에 의해 쓰여졌다.) - '편지(A letter)'가 '쓰는' 동작을 당함.

왜 수동태를 쓸까요?

  1. 행위자가 중요하지 않거나 불분명할 때:

  • The window was broken. (누가 깼는지 중요하지 않거나 모를 때)

  1. 동작을 당하는 대상(주어)을 강조할 때:

  • This beautiful painting was created by a famous artist. (그림을 강조)

영어 뉴비로서 정말 좋은 질문들을 해주셨어요! 이 개념들은 영어 문법의 기초 중에서도 아주 중요한 부분이니, 차근차근 복습하고 예문을 많이 보면서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조급해하지 마시고 꾸준히 하다 보면 분명히 실력이 늘 거예요!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