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프랑스 미대 유학에 대한 조언을 구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미대 유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보자르, ENSAD, HEAR 등등

프랑스 미대 유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보자르, ENSAD, HEAR 등등 )시각 디자인, 믹스 미디어 방향의 작업을 염두해두고 있습니다. 2004년생, 한국 나이로 22살로 군 입대를 앞두고 있는 와중이며 27년 2월 전역 후, 미대 입시 학원에 등록하고 이듬해인 28년 입학을 목표로 준비할 예정 입니다. 프랑스어는 노베이스 상태에서 기초를 공부하고 있고, 곧 입대하여 군 복무 중에도 여유가 생길 때마다 공부할 예정 입니다.현재 사진 위주의 작업을 해왔고, 추가적으로 평소에 음악 작업과 자전적 글쓰기 등도 열심히 해왔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이후론 현실적으로 일과 작업을 병행해오며 처음에는 대학에 큰 뜻이 없이 생활을 이어왔지만, 예술에 대한 진지한 태도와 꿈, 더 큰 세상에 대한 갈망으로 프랑스 유학에 흥미를 가지고 바라보고 있습니다. 입대 전 먼저 앞으로의 진로를 생각하기 위해 이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알아보고 미리 염두해두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 계획대로 준비하여도 아직 늦지 않았을지, 또한 저처럼 늦게 준비하여 입학한 사례들이 있는지, 제 진로에 대해 조언해주실 내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진솔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미대 입시 학원은 포트폴리오와 지원 절차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먼저 꼭 짚어야 할 점이 있습니다. 프랑스의 Université(대학)과 대부분의 공립·국립 미술학교(École)는 원칙적으로 바깔로레아(Baccalauréat) 또는 이에 상응하는 고등교육 입학 자격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한국에서 단순히 고등학교 졸업장만으로는 바로 지원이 어려울 수 있고, 프랑스 측에서 요구하는 ‘학력 동등성(equivalence)’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 점은 지원 전 프랑스 대사관·Campus France 또는 각 학교에 반드시 확인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다음은 준비에 있어 중요한 몇 가지 축입니다.

  1. 학력(입학 자격)

  • 원칙적으로 바깔로레아(또는 동등 자격)가 필요합니다. 일부 학교는 예외적으로 뛰어난 포트폴리오와 면접으로 재량 입학을 허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매우 드문 경우이며 학교마다 기준이 다릅니다.

  • 실무적인 대안으로는 한국에서 대학 등록(또는 대학 이수 기록)을 확보하거나, 국제 바칼로레아(IB) 등을 통해 입학 자격을 증명하는 경로가 있습니다. (후자는 어려움)

  1. 언어 능력

  • 수업·면접·에세이를 소화하려면 보통 DELF B2 수준 이상의 프랑스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 기초 수준에서의 독학으로 바로 이 수준에 도달하기는 어렵습니다.

  • 발음·회화·작업 설명·비평 수업 참여 등을 고려하면, 체계적인 수업(학원, 과외, 현지 어학연수 등)이 큰 도움이 됩니다.

  1. 포트폴리오와 커뮤니케이션 능력

  • 작품 자체의 완성도뿐 아니라 작업 의도와 과정, 콘셉트(또는 리서치)를 프랑스어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면접에서의 질문 대응 능력도 선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1. École vs Université의 차이

  • Université는 이론·학문적 접근이 강하고, École(미술전문학교)는 실기 중심의 교육과 현업 아티스트 지도에 강점이 있습니다. 많은 한국 유학생이 École을 선호하지만, 지원 요건(학력·언어·포트폴리오)은 둘 다 엄격합니다.

  1. 나이

  • 공식적인 상한을 둔 학교는 드물며, 20대·30대에 입학하는 사례도 흔합니다. 다만 경쟁이 치열한 일부 학교나 전형에서는 지원자 프로필(경력·학력)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니, 각 학교의 입시요강을 확인하세요. 파리지역 보자르, 아르데코는 나이 제한이 있는 걸로 압니다. 그러나 지방은 거기에 비해 좀더 열려있는 편이죠.

결국, 프랑스 미대 진학은 언어능력(프랑스어)과 학력(바깔로레아 또는 동등성 증명), 그리고 충실한 포트폴리오 이 세 축을 모두 맞춰야 성공 확률이 높습니다. 준비 기간을 계획하실 때는 이 세 요소를 균형 있게 개선하는 로드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 되었다면 채택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