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일본어 한국에서는우리 엄마, 우리 학교 등등 처럼 ‘우리’라는 표현을 많이 쓰잖아요,

한국에서는우리 엄마, 우리 학교 등등 처럼 ‘우리’라는 표현을 많이 쓰잖아요, 그런데 일본에서도 한국에서처럼 ‘우리’라는 표현을 쓰나요? 아니면 내 엄마, 내 학교처럼 ’내‘라는 표현을 쓰나요?

한국어의 ‘우리 엄마, 우리 학교’처럼 관계가 개인적이더라도 ‘우리’라는 표현을 쓰는 문화는 일본어에서는 거의 없습니다.

차이점 정리

1. 한국어

  • ‘우리’ = 공동 소유뿐 아니라 심리적 친밀감·소속감 표현

  • 예) 우리 엄마, 우리 집, 우리 회사 → 청자에게 ‘함께하는 느낌’을 줌

2. 일본어

  • 가족·학교·회사 등 개인 소유 관계를 말할 때는 보통 私の(わたしの, 내) 또는 僕の(ぼくの) 사용

  • 예) 私の母 (わたしのはは, 내 어머니)

  •   私の学校 (わたしのがっこう, 내 학교)

  • ‘우리’에 해당하는 **私たちの(わたしたちの)**는 진짜 ‘여럿이 공유’하는 경우에만 씀

  • 예) 私たちの家 (우리 집) → 실제로 가족·친구 등 여러 명이 함께 사는 집을 의미

문화적 이유

  • 일본어에서는 주체·소유를 명확히 구분하는 경향이 강함

  • 가족·소속을 말할 때도 ‘내’라는 표현을 써서 개인의 관계를 나타냄

  • 반면 한국어에서는 ‘우리’가 포괄적 소속감과 정서적 유대를 나타내기 때문에, 소유 관계라도 ‘우리’를 자연스럽게 사용

예외

일본에서도 일부 상황에서는 ‘우리’처럼 들리는 표현을 씀

  • うちの母 (우리 집의 어머니 → 우리 엄마)

  • うちの学校 (우리 학교)

  • → 여기서 **うち(집, 우리 집)**는 친밀한 자기 집단을 가리킬 때 한국어 ‘우리’와 비슷하게 쓰입니다.

  • 다만 私たちの가 아니라, ‘집단/가정’ 의미의 うち를 쓰는 것이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