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오펜하이머와 관련된 인물에 대한 입니다. 1. 맨하탄 프로젝트의 이름을 지은 사람은 누구이고, 누구의 명령으로 시작되었나요?2.

1. 맨하탄 프로젝트의 이름을 지은 사람은 누구이고, 누구의 명령으로 시작되었나요?2. '스트로스'는 어떤 자격과 계기로 맨하탄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나요?4. 오펜하이머와 절친했던 '슈발리에'는 이후 어떻게 되나요?5. 오펜하이머를 맨하탄 프로젝트에 추천한 '로런스'가 이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고 하는데, 어떤 업적으로 받은 것인가요?6. 맨하탄 프로젝트의 기밀이 외부로 새어나간 적이 있었나요? '니콜스'의 의심대로 실제 맨하탄 프로젝트에 '스파이'가 있었나요?7. 맨하탄 프로젝트의 중심지인 '로스앨러모스'는 이후 어떻게 관리되었나요? 8. 맨하탄 프로젝트 참가자 중에서 오펜하이머와 끝까지 의리를 지키고, 그를 지지한 인물은 누구인가요?9. 오펜하이머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아인슈타인과 보어 교수인가요?

좋은 질문이에요 지식인 답변 스타일로 하나씩 정리해드릴게요.

답변

  1. 맨해튼 프로젝트의 이름과 시작 명령

  • “맨해튼 프로젝트”라는 이름은 미 육군 공병단에서 붙인 것으로, 처음 본부가 뉴욕 **맨해튼 지구(Manhattan District)**에 설치된 데서 유래했습니다.

  • 프로젝트 자체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명령으로 시작되었고, 이후 레슬리 R. 그로브스 장군이 총지휘를 맡았습니다.

  1. 스트로스(Lewis Strauss)의 참여

  • 스트로스는 사실 맨해튼 프로젝트에 직접 과학자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금융업과 해군 경력을 가진 인물로, 전쟁 이후 원자력위원회(AEC) 위원장을 맡아 오펜하이머와 갈등을 빚었습니다.

  • 영화 <오펜하이머> 때문에 혼동이 생긴 것 같지만, 맨해튼 프로젝트 연구진으로 들어간 것이 아니라 전후 핵정책 결정권자로 등장한 인물입니다.

  1. 슈발리에(Jean Tatlock / Haakon Chevalier 혼동 주의)

  • 오펜하이머와 친했던 인물은 **하콘 슈발리에(Haakon Chevalier)**라는 캘리포니아대 교수였습니다.

  • 그는 좌파 성향 지식인으로, 오펜하이머에게 소련에 기밀을 전달할 경로가 있다는 말을 꺼낸 적이 있습니다.

  • 이 사건(‘슈발리에 사건’)은 훗날 오펜하이머의 안보 심사에서 불리한 증거로 작용했고, 슈발리에는 그 뒤 학계에서 한동안 불이익을 받았습니다.

  1. 로런스와 노벨상

  • 오펜하이머를 추천한 인물은 어니스트 로런스(Ernest Lawrence), 사이클로트론을 개발한 핵물리학자입니다.

  • 그는 노벨 문학상이 아니라 1939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습니다. 업적은 사이클로트론 개발과 이를 통한 방사성 동위원소 연구입니다.

  1. 맨해튼 프로젝트 스파이 사건

  • 실제로 기밀이 소련에 유출된 사례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스파이는 클라우스 푹스(Klaus Fuchs), 데이비드 그린글라스, 시어도어 홀 등이었습니다.

  • 이로 인해 소련은 예상보다 훨씬 빨리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1. 로스앨러모스의 이후

  • 전쟁 직후에는 군에서 관리했지만, 1947년 이후 **미국 원자력위원회(AEC)**로 이관되었습니다.

  • 현재는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로 운영되며, 핵무기뿐 아니라 다양한 첨단 과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 끝까지 오펜하이머를 지지한 인물

  • 오펜하이머가 정치적 탄압을 받을 때도 그를 지지한 대표적인 인물은 **이스리엘 라비(Isidor Rabi)**와 **한스 베테(Hans Bethe)**였습니다.

  • 특히 베테는 오펜하이머의 제자이자 로스앨러모스 이론부 책임자로, 이후에도 변함없이 그를 옹호했습니다.

  1. 오펜하이머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

  • 물리학적으로는 **닐스 보어(Niels Bohr)**와 **막스 보른(Max Born)**에게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 아인슈타인과도 교류했지만, 직접적인 연구 제자 관계는 없었고, 오히려 보어와 보른이 그의 학문적 사상에 깊은 영향을 준 인물로 평가됩니다.

정리

  • 맨해튼 프로젝트 이름: 군에서 붙임 (루스벨트 대통령 명령으로 시작)

  • 스트로스: 연구진 아님, 전후 핵정책 위원장

  • 슈발리에: 좌파 지식인, 안보심사에서 문제 됨

  • 로런스: 노벨 물리학상(1939), 문학상 아님

  • 스파이 존재: 푹스 등 실제 기밀 유출 사례 있음

  • 로스앨러모스: 현재는 국립연구소로 운영

  • 끝까지 지지: 라비, 베테

  • 학문적 영향: 보어, 보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