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고시생이라면 출결 점수, 진로 점수 같은 비교과 항목은 따로 반영되지 않습니다.
고등학교 내신 성적이나 생활기록부 기반의 비교과 요소(출석, 봉사, 동아리 활동, 진로활동 등)를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각 대학에서는 검정고시 성적을 일정 기준에 맞춰 ‘내신 환산 점수’로 계산해서 반영합니다.
---
1. 검정고시 환산 점수 보는 법
모집 요강에 “검정고시 출신자 성적 반영 방법”이 따로 표기됩니다.
보통은 **과목별 평균점수(100점 만점)**을 내신 등급이나 점수로 환산합니다.
예: 검정고시 평균 90점 이상 = 내신 1~2등급 수준으로 인정.
검정고시 80점대 = 내신 3~4등급 수준.
따라서 생활기록부가 없으니 출결·진로 점수는 전혀 걱정 안 해도 됩니다.
---
2. 수능 최저학력기준
말씀하신 “2합 8”은 보통 국어·수학·탐구 중 2과목 합이 8등급 이내라는 뜻입니다.
예: 국어 3등급 + 탐구 5등급 = 합 8 → 충족.
국어 4등급 + 탐구 4등급 = 합 8 → 충족.
영어는 등급을 직접 반영하지 않거나, 가산·감산식으로 반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검정고시 점수로 기본 지원자격 충족 + 수능 최저를 맞추는 게 핵심이에요.
---
3. 정리
출결/진로 점수 → 검정고시생은 아예 반영 안 됨.
검정고시 환산점수 → 모집요강에서 “검정고시 성적 반영방법” 확인. (평균점수로 내신 환산)
합격 전략 → 검정고시 성적은 자격 충족용, 실제 합불은 수능 최저 충족 여부가 더 크게 작용.
도움이 되셨을까요?
채택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