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기능사, 가스기능사, 에너지관리기능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2급소방안전관리, 위험물안전관리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배관과 졸업 48회
수원과학대학교 건축설비과 졸업 23회 92학번
경기인력개발원 전산응용건축설계과 수료 1회 97학번
본론
사무직+기술직+영업직+공장직+미화직+알바직=18년 해봄
채택이요 기부가 됨 좋은일 하심
답변: 아래 설명을 참고 하세요
기계 및 전기 분야는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기술을 익히고 취업할 수 있는 길이 많습니다. 아래에 기술 습득 방법과 취업처를 정리해드릴게요.
기술 습득 방법 (비전공자 대상)
1. 국비지원 교육 프로그램
국민내일배움카드: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 기계·전기 관련 과정 다수 개설
K-디지털 트레이닝: IT·AI 중심이지만 일부 자동화·센서 제어 등 전기기술 포함
지역혁신 청년훈련사업: 지역 산업과 연계된 기계·전기 실무 훈련 제공 신청은
고용24_개인 또는 지역 고용센터에서 가능
2. 자격증 취득
전기기능사 / 전기기사: 실무 경력 또는 기능사 취득 후 기사 응시 가능
기계정비기능사 / 생산자동화기능사: 기초부터 실습 중심으로 학습 가능
CAD, PLC, 제어공학 관련 자격증: 자동화·설계 분야 진출에 유리
3. 온라인 학습 플랫폼
유튜브, 인프런, 패스트캠퍼스 등에서 기초 전기·기계 강의 제공
실습이 필요한 경우 오프라인 학원 병행 추천
취업처 및 진출 분야
분야 | 주요 직무 | 추천 취업처 |
전기설비 유지보수 | 배선, 점검, 안전관리 | 아파트 관리소, 시설관리 업체, 공공기관 |
기계정비 및 생산관리 | 기계 유지보수, 생산라인 운영 | 중소 제조업체, 반도체·자동차 부품사 |
자동화 시스템 운영 | PLC 제어, 센서 설정 | 스마트팩토리, 물류 자동화 기업 |
공공기관 기술직 | 기계·전기직 공무원 |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예: 한전, 도로공사) |
건설·설비 분야 | 전기공사, 기계설비 시공 | 전기·기계 시공업체, 건설사 협력업체 |
팁: 비전공자의 강점 살리기
문서작성 능력: 기술직에서도 보고서, 점검일지 작성이 중요
커뮤니케이션 능력: 현장 기술자와의 협업에 유리
자격증 + 실습 경험: 이 조합이면 전공자 못지않은 경쟁력 확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