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회사사람 결혼식 참석 드립니다 제가 내년 여름에 여자친구와 결혼하는데요 아마 결혼할때도 현재 회사에서 재직중일것

제가 내년 여름에 여자친구와 결혼하는데요 아마 결혼할때도 현재 회사에서 재직중일것 같아서회사사람들도 제 결혼식에 초대드릴 예정이었습니다근데 이번에 크게 친하지는 않은 다른부서에 계신 직원분께 청첩장을 받았는데요저도 제 결혼식때 초대를 하려면 저도 가는게 맞을것 같아서일정과 위치를 확인해봤는데회사는 서울인데 식장은 부산쪽에 위치하더라구요...물론 사내 전용으로 셔틀버스를 빌려주신것 같긴한데멀어도 너무멀어서 이걸 가야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중이었는데요안가고 축의금으로 따로 챙겨드려도 괜찮을까요?안갈경우 제 결혼식때 청첩장을 드려도 괜찮을까요?아니면 제 결혼식때 초대 예정이라면 그래도 예의상 저도 가드리는게 좋을지 질문드립니다
  • 상대방: 같은 회사이지만 다른 부서이고, 평소에 크게 친하진 않음.

  • 상황: 본인 결혼식에는 회사를 통해 초대할 예정 → 그래서 "내가 안 갔는데 나중에 초대해도 되나?"라는 고민.

  • 조건: 결혼식 장소가 부산, 본인은 서울 근무 → 물리적 거리 부담이 큼.

1. 꼭 참석해야 할까?

  • 멀리 지방에서 하는 결혼식은 보통 가까운 지인, 가족, 아주 친한 사이가 아니면 안 가는 게 일반적이에요.

  • 서울-부산 정도 거리라면, "안 갈 수 있는 명분"이 충분합니다. 회사에서도 다들 이해할 거예요.

대신 어떻게 하면 좋을까?

  • 축의금: 못 가더라도 축의금은 전달하는 게 예의예요. 직접 전하거나, 계좌로 보내도 됩니다.

  • 메시지: “거리가 멀어 참석은 어렵지만, 결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라는 말 한마디만 더해도 충분히 정리돼요.

3 그럼 내 결혼식 때 청첩장 줘도 될까?

  • 가능합니다. 상대방도 "내 결혼식에 굳이 서울에서 내려오지 않은걸" 이해할 거고, 그렇다고 해서 본인 결혼식에 초대 못 하는 건 아니에요.

  • 다만 줄 때는 살짝 배려 섞어서,

“예의상 그래도 가야 하나?”에 대한 정리

  • 정말 가까운 부서 동료나 친한 관계라면 ‘예의상’ 가는 경우도 있어요.

  • 하지만 말씀하신 대로 "크게 친하지 않은 다른 부서 직원"이라면, 안 가도 전혀 문제없음 → 대신 축의금은 꼭 챙기시면 됩니다.

✅ 결론:

  • 안 가셔도 됩니다. (거리 핑계는 충분히 정당)

  • 축의금+축하 인사로 마무리.

  • 나중에 내 결혼식 청첩장 드려도 무방. 다만 말할 때 약간의 배려 멘트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