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1910년~광복까지 역사연표 1910년부터 6.25전쟁 전까지 한국사 순서표 자세히 만들어주세요ㅠㅠ1910년 조선총독부,헌병경찰제,조선태형령,제1차 조선교육령 등등..1920년

1910년부터 6.25전쟁 전까지 한국사 순서표 자세히 만들어주세요ㅠㅠ1910년 조선총독부,헌병경찰제,조선태형령,제1차 조선교육령 등등..1920년 봉오동전투… 치안유지법 등등..1945 광복이런식으로요 ㅜㅜ

1910

  • 병합 체결, 조선총독부 설치, 무단통치 시작, 헌병경찰제 도입

  • 회사령 공포(허가제), 토지조사사업 착수

1911

  • 조선교육령 1차(보통교육 축소, 일본어 중심)

1912

  • 조선태형령 시행, 조선형사령·경찰범처분규칙 정비

1915

  • 토지조사사업 마무리, 회사령 운용 강화

1918

  • 쌀값 폭등, 국내외 사회 불안 확대

1919

  • 3월 만세 운동 전국 확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상하이)

  • 헌병경찰 폭압 강화, 이후 명목상 문화통치 전환 예고

1920

  • 회사령 완화(신고제), 산미증식계획 시작

  • 봉오동 전투, 이어 청산리 전투

  • 동아일보·조선일보 창간, 물산장려 운동의 전개

1923

  • 관동 대지진 때 조선인 학살 사건

1925

  • 치안유지법 시행, 사상 탄압 제도화

  • 조선공산당 비밀 결성, 곧 탄압

1926

  • 6·10 만세 운동, 학생·사회세력 연대의 신호탄

1927

  • 신간회 결성(좌우 민족협동전선), 브나로드식 계몽 확산

1929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전국으로 확산

1931

  • 만주사변, 독립군 근거지 타격 심화

  • 농촌진흥운동 등 식민지 농촌 통제

1932

  • 이봉창 의거(도쿄), 윤봉길 의거(상하이)로 국제 여론 변화

1937

  • 중일전쟁 발발, 전시체제 본격화, 내선일체 구호

  • 민족말살 정책 예고 수준에서 서서히 강해짐

1938

  • 조선교육령 개정(일본어 사용 강제, 군사훈련 도입)

  • 국가총동원법 적용, 근로·물자 동원 확대

1939~1940

  • 창씨개명 강요, 한국어 교육 축소·사라짐

  • 1940 전후로 신문·잡지 강제 폐간 또는 강한 검열

1941

  • 태평양 전쟁, 전시 동원 극대화(군수 공장, 징용 확대)

1943

  • 학도지원병제, 학생들의 전쟁 동원 제도화

1944

  • 조선인 징병제 실시, 근로정신대·강제동원 심화

1945

  • 8월 해방, 미군정 수립(남), 소군정 설치(북), 38선 분할

  • 12월 국제 회의에서 신탁통치안 논의, 국내 여론 분열

1946

  • 남쪽 좌우합작 운동 전개, 9월 총파업·10월 사건 등 사회 혼란

  • 북쪽 토지개혁 단행, 권력 재편 빠르게 진행

1947

  • 한반도 문제 유엔 이관, 남북 총선 논의 시작

1948

  • 4월 제주 봉기 발생, 5·10 총선, 8·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 9·9 북쪽 정부 수립, 10월 여수·순천 사건

  • 말미에 국가보안법 제정(연말), 사회 통제 강화

1949

  • 반민특위 와해, 경찰·군 중심 질서 굳어짐

  • 휴전선 일대 무력 충돌 지속, 긴장 누적됨

1950 전쟁 직전

  • 1월 미 국무부 방위선 발표(이른바 애치슨 라인), 남북 모두 신경 곤두섬

  • 봄부터 국지 교전 증대, 정세 급속 악화

  • 6월 하순까지 정치 대립 심해지고 경계선 충돌 이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