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핵탄두 핵물질 이란 전쟁 알아보면서 핵탄두에 대해 배웠는데요핵분열을 일으키는 우라늄이나 플로토늄 같은

이란 전쟁 알아보면서 핵탄두에 대해 배웠는데요핵분열을 일으키는 우라늄이나 플로토늄 같은 물질과기폭장치로 나뉘어 있다고 하더라고요보통 핵보유국들이 핵탄두를 보관할 때 기폭장치를 비롯한 탄두에서 핵믈질을 빼서 보관하다가 발사할 때 집어넣기도 한다는데 그럼 핵물질 안넣고 기폭장치가 들어있는 탄두만 만들면 핵을 만들거나 보유한게 아닌가요?보통 원자력기구에서 감시하는게 핵물질이지 다른 게 아니잖아요 탄두만 만들어두고 핵물질 안건들면 아무도 모르겠는데?근데 이러면 세계에 얼마나 많은 국가들이 하루 이틀만에 핵보유를 선언하는거지???유사시 핵물질이야 당장 전쟁의 승패가 달렸는데 발전소에서 가져와서 재처리 좀 하고 넣어서 발사하면 끝이니깐혹시 플로토늄도 어떻게 꼬불칠 수 있나요? 일본이 플로토늄 꽤 꼬불쳐놯다고 하던데...

핵무기 만들기, 그렇게 쉬웠으면 이미 지구는 여러 번 증발했겠죠? "탄두만 만들어두면 핵무기 아니다?"...그건 총알 없이 총만 들고 있는 사람이 무장 안 했다는 주장만큼이나 순진한 얘기입니다. 국가안보는 그런 얄팍한 트릭으로 뚫릴 만큼 허술하지 않거든요.

‘핵물질만 감시한다’는 주장은, IAEA를 무슨 CCTV처럼 단순 감시 장치로 착각한 결과입니다. 국제원자력기구는 핵무기 제조 능력 전체를 감시합니다. 기폭장치·탄두 설계·실험 자료·재처리 설비 등 모두 포괄적 검증 대상이죠. 탄두만 보유하고 있어도 군사적 의도나 능력의 정황이 드러나면 제재나 조사 대상이 됩니다. 플루토늄을 ‘꼬불친다’는 건 더더욱 모르는 소리...민간용 플루토늄도 반응 속도·동위원소 구성·변환 가능성 등으로 철저히 관리되고, 일본도 핵무기 전용 고농축 플루토늄이 아닌, 사용후연료 재처리 부산물 보유입니다.

‘하루 이틀 만에 핵보유’라는 전제 자체가, 국제정치도 과학도 전혀 모른 채 던지는 공상 수준입니다. 핵탄두의 내부 구조·중성자 반사체·기폭 시퀀스·전기신호 타이밍은 고도의 기술 결정체로, 핵물질 넣는다고 뻥! 하고 터지지 않아요. 그런 식이면 100개국은 이미 핵보유국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단 9개국뿐이죠. 당신이 놓친 건 단 하나...‘의지’가 아니라 ‘능력’이란 겁니다. 전쟁을 상상했다면, 상상력보다 과학적 사고부터 먼저 키우셔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