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에어컨 전기세 대략 얼마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이번 여름을 맞아 에어컨을 필터청소 후에 가동했는데 20년은 넘은

안녕하세요! 이번 여름을 맞아 에어컨을 필터청소 후에 가동했는데 20년은 넘은 모델이라 그런지 희망온도 18도로 맞춰놨는데도 선선해지는 정도라 (냉매가스도 누출 없음) 전기세가 많이 나온다면 차라리 냉풍기를 살까싶어요. 그래서 한달 내내 풀가동 시 전기세가 대략 얼마 나올지 궁금해 질문 드립니다!

질문자님, 안녕하세요

오래된 1등급 에어컨을 이번 여름 다시 가동하셨군요!

“냉방 성능은 약한데 전기세가 폭탄이면 어떡하지?” 하는 걱정, 정말 공감됩니다 ㅠㅠ

지금 붙어있는 에너지 소비효율 스티커를 기준으로,

한 달 풀가동 시 전기세가 얼마나 나올지 정확하게 계산해드릴게요!

✅ 제품 정보 요약 (사진 기준)

항목

내용

모델명

LG LS-Q46CS

정격 냉방능력

1.6kW

소비전력

450W = 0.45kW

에너지효율

1등급 (3.62 W/W)

월간 소비전력량 (표준 기준)

99.2kWh/월 (1일 6시간 기준)

사용연수

20년 이상

냉매

R22 (이제 단종된 구형 냉매)

✅ 질문자님 사용 조건

  • 온도: 18도로 낮춤 (실외기 가동 많음)

  • 가동 시간: 하루 24시간 × 30일 = 720시간

  • 필터는 청소했지만 성능 저하 있음

✅ 실제 월 소비전력 예측

▶ 기준 소비전력: 450W × 24시간 = 10.8kWh/일

→ 30일 × 10.8kWh = 약 324kWh/월

다만, 18도로 설정한 상태 + 구형 제품 특성상

실제 소비전력은 표기보다 더 많이 나올 수 있어요.

이를 반영하여 350kWh 수준으로 계산해볼게요.

✅ 전기세 누진제 적용 요금 계산

사용량 (kWh)

예상 전기세 (누진제 포함)

350kWh

약 65,000원 ~ 75,000원

기존 가정용 사용량 포함 시 (예: +150kWh) → 총 500kWh

약 95,000원 이상

✅ 요약 정리

조건

계산 결과

하루 24시간 × 30일 사용

350kWh 소비

예상 전기세 (에어컨만)

6만 5천 ~ 7만 5천 원

전체 전기세 (기본 사용 포함)

9만 원 ~ 11만 원대 예상

⚠️ 참고 포인트

  • 20년 이상 된 제품이라 실제 소비전력은 표기보다 10~20% 더 높을 수 있어요.

  • 냉매는 이상 없어도, 압축기 노후화로 인해 효율이 떨어져 실외기가 더 자주 작동합니다.

  • 결과적으로, 요즘 인버터형 1등급 제품보다 전기세 30~40% 더 나올 수 있어요.

✅ 냉풍기로 바꾸는 게 나을까요?

항목

벽걸이 에어컨

냉풍기

냉방력

✅ 강력

❌ 제한적 (좁은 공간 위주)

전기세

❌ 높음 (월 7~11만 원)

✅ 매우 저렴 (월 1~2천 원 수준)

지속 냉방

✅ 가능

❌ 습도↑ / 효과↓

장기 사용

✅ 실내 전체 냉방

❌ 국소 냉방만

작은 원룸 or 혼자 생활 + 전기세 부담 클 경우엔 냉풍기 고려해볼만 해요!

하지만 공간 전체 냉방이 필요하다면 에어컨이 결국 실용적입니다.

질문자님의 사용 패턴과 공간 크기에 따라 선택지가 달라질 수 있지만,

전기세가 걱정되신다면 하루 8~10시간 정도 절전 운전으로 타협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더 정확한 전기세 계산법과 절약 팁은 아래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