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님, 안녕하세요
오래된 1등급 에어컨을 이번 여름 다시 가동하셨군요!
“냉방 성능은 약한데 전기세가 폭탄이면 어떡하지?” 하는 걱정, 정말 공감됩니다 ㅠㅠ
지금 붙어있는 에너지 소비효율 스티커를 기준으로,
한 달 풀가동 시 전기세가 얼마나 나올지 정확하게 계산해드릴게요!
✅ 제품 정보 요약 (사진 기준)
항목 | 내용 |
모델명 | LG LS-Q46CS |
정격 냉방능력 | 1.6kW |
소비전력 | 450W = 0.45kW |
에너지효율 | 1등급 (3.62 W/W) |
월간 소비전력량 (표준 기준) | 99.2kWh/월 (1일 6시간 기준) |
사용연수 | 20년 이상 |
냉매 | R22 (이제 단종된 구형 냉매) |
✅ 질문자님 사용 조건
온도: 18도로 낮춤 (실외기 가동 많음)
가동 시간: 하루 24시간 × 30일 = 720시간
필터는 청소했지만 성능 저하 있음
✅ 실제 월 소비전력 예측
▶ 기준 소비전력: 450W × 24시간 = 10.8kWh/일
→ 30일 × 10.8kWh = 약 324kWh/월
다만, 18도로 설정한 상태 + 구형 제품 특성상
실제 소비전력은 표기보다 더 많이 나올 수 있어요.
이를 반영하여 350kWh 수준으로 계산해볼게요.
✅ 전기세 누진제 적용 요금 계산
사용량 (kWh) | 예상 전기세 (누진제 포함) |
350kWh | 약 65,000원 ~ 75,000원 |
기존 가정용 사용량 포함 시 (예: +150kWh) → 총 500kWh | 약 95,000원 이상 |
✅ 요약 정리
조건 | 계산 결과 |
하루 24시간 × 30일 사용 | 약 350kWh 소비 |
예상 전기세 (에어컨만) | 약 6만 5천 ~ 7만 5천 원 |
전체 전기세 (기본 사용 포함) | 9만 원 ~ 11만 원대 예상 |
⚠️ 참고 포인트
20년 이상 된 제품이라 실제 소비전력은 표기보다 10~20% 더 높을 수 있어요.
냉매는 이상 없어도, 압축기 노후화로 인해 효율이 떨어져 실외기가 더 자주 작동합니다.
결과적으로, 요즘 인버터형 1등급 제품보다 전기세 30~40% 더 나올 수 있어요.
✅ 냉풍기로 바꾸는 게 나을까요?
항목 | 벽걸이 에어컨 | 냉풍기 |
냉방력 | ✅ 강력 | ❌ 제한적 (좁은 공간 위주) |
전기세 | ❌ 높음 (월 7~11만 원) | ✅ 매우 저렴 (월 1~2천 원 수준) |
지속 냉방 | ✅ 가능 | ❌ 습도↑ / 효과↓ |
장기 사용 | ✅ 실내 전체 냉방 | ❌ 국소 냉방만 |
작은 원룸 or 혼자 생활 + 전기세 부담 클 경우엔 냉풍기 고려해볼만 해요!
하지만 공간 전체 냉방이 필요하다면 에어컨이 결국 실용적입니다.
질문자님의 사용 패턴과 공간 크기에 따라 선택지가 달라질 수 있지만,
전기세가 걱정되신다면 하루 8~10시간 정도 절전 운전으로 타협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더 정확한 전기세 계산법과 절약 팁은 아래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세요!
2025년 전기세 계산 A to Z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전기세 계산**에 대해 정확하고 쉽게 알려드릴게요. 전기세 계산법, 누진 요금표, 계산기 활용, 실시간 관리, 절약 팁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내용을 확인하시고 이번 여름은 다들 시원하게 보내시기를 바랄게요!1. 전기세 계산 구조 이해하기우선 전기세 계산 전에 전기세 관련 구조를 이해를 해야 해요.전기세 계산은 기본요금 + 사용량 요금(누진제) + 기후환경요금 + 연료비조정 + 부가가치세로 이루어집니다. **전기세 계산**의 핵심은 누진 요금 구간을...
yoonjinflag.tistory.com